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인천 버스 71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인천71.pn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3.1. 구 700-1번 시절
3.2. 현 71번
4. 특징
4.1. 시간표
4.2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_White.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1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인천-71번-노선도.png
기점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(강화터미널)종점인천광역시 서구 연희동(아시아드주경기장(동문))
종점행첫차05:20기점행첫차05:40
막차22:00막차22:20
평일배차30~45분(1일 27회)주말배차40~55분
운수사명강화교통인가대수9대[1]
노선강화터미널 - 세광아파트 - 안양대학교 - 산문입구 - 노랑새고개 - 화도터미널 - 여우고개 - 길상면주민복합센터 - 초지진 - 약암호텔 - 대곶사거리 - 가오대입구 - 구래역 - 구래리 - 금곡동 - 검단사거리역 - 마전역 - 완정역 - 독정역(서구동구예비군훈련장) - 검암역입구 - 검바위역 - 공촌마을 - 서인천농협 - 가정(루원시티)역 - 가정LH3단지정문앞 - 인천아시아드테니스장 -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(동문)


2. 개요[편집]


강화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, 왕복 운행거리는 122.78km다.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
3.1. 구 700-1번 시절[편집]


  • 700번의 지선으로 개통되었으며, 계산역 - 검단 - 초지대교 - 마니산 - 강화터미널 노선으로 개통되었다.

  • 그러다가 인천 구간은 700번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.

  • 2011년 6월 14일에 본선인 700번과 함께 직행좌석버스에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.

  • 2012년 9월 13일에 솔터마을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.

  • 2013년 11월 1일에 선행리를 경유한 후 강화읍으로 들어가도록 변경되었다.

  • 봉오대로의 선형이 개선되며 2014년 9월 18일에 정차 정류장이 변경되었다.

  • 2015년 1월 5일에 강화서문을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.

  •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700번 폐선분 8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35~45분으로 단축되었다.

파일:202010201326498131.jpg
  •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연희동행정복지센터, 서구청역 경유에서 공촌사거리, 광명아파트, 국제성모병원 경유로 변경되었고, 아시아드주경기장동문 - 인천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. 운행거리 단축으로 운행횟수가 증회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40~48분 / 토요일 45~54분 / 공휴일 51~62분에서 평일 30~35분 / 토요일 38~43분 / 공휴일 43~50분으로 줄어들었다.

  • 2021년 10월 1일에 인산저수지, 초지삼거리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하며, 1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34~38분으로 조정된다.관련 공문

  • 2021년 10월 30일부터 양 방향 송마3리(80157, 80158)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한다.


3.2. 현 71번[편집]


  • 2022년 12월 10일부터 노선번호가 71번으로 변경되었다. 동시에 길상면행정복지센터로 들어가도록 변경되었다. 또한 이용객들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선판에 '구 700-1번'이라는 표기를 넣었다.

  • 루원시티 개발에 따라 2023년 11월 4일부터 양방향으로 가정교 정류장이 추가된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온수리를 비롯한 강화 남부에서 한강신도시나 인천광역시로 나가는 수요가 많다. 하지만 배차간격이 길어서 도심 구간에서는 경쟁 노선들에게 밀린다.

  • 배차간격이 매우 길기때문에 이용하기가 어렵다면 지하철을 이용해 검암역으로 이동 후, 시천고가교에 있는 검암역입구 정류장에서 70번, 김포 90번, 800번을 이용해도 된다.[2]

  •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면서 안양대학교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에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버스이다. 초지대교를 경유하여 다이렉트로 학교로 이동하기 때문에 강화터미널에서 환승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.

  • 강화군에서는 인가상으로는 없는 정류장에서도 비공식적으로 승객을 받는다. 다만 기사에 따라 손을 흔들어도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급하게 버스를 타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 방법을 시도하지 말고 정류소에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.


  • 인천광역시 간선버스중에서 왕복 운행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.

  • 도로 사정(좁은도로)으로 저상버스 투입 의무화 예외 노선이 되었다.


4.1. 시간표[편집]


71번 평일 운행시간표
2022년 8월 18일 기준
[ 시간표 펼치기 · 접기 ]

순번강화인천
105:1005:40
205:5006:40
306:3007:30
407:0008:20
507:3009:00
608:0009:30
708:3010:00
809:0010:30
910:0011:00
1011:0011:30
1111:5012:20
1212:2013:20
1312:5014:10
1413:2014:40
1513:5015:10
1614:2015:40
1714:5016:10
1815:4016:40
1916:3017:10
2017:2018:10
2117:5019:00
2218:2019:50
2318:5020:20
2419:2020:50
2519:4021:20
2620:5021:50
2722:0022:20


71번 토요일 운행시간표
2022년 8월 18일 기준
[ 시간표 펼치기 · 접기 ]

순번강화인천
105:1005:40
206:1006:40
307:0007:30
407:3008:30
508:3009:30
609:0010:00
710:0011:00
811:0011:30
912:0012:20
1012:5013:20
1113:2014:20
1214:2015:10
1314:5015:40
1415:4016:40
1516:3017:10
1617:2018:10
1718:2019:00
1818:5020:00
1919:4020:50
2020:5021:20
2122:0022:20


71번 일요일/공휴일 운행시간표
2022년 8월 18일 기준
[ 시간표 펼치기 · 접기 ]

순번강화인천
105:1005:40
206:2006:40
307:3007:30
408:3008:40
509:0009:50
610:0010:50
711:0011:30
812:0012:20
913:0013:20
1014:0014:20
1114:5015:20
1215:4016:20
1316:4017:10
1417:5018:10
1518:5019:00
1619:4020:20
1720:5021:20
1822:0022:20



4.2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00-1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18년2,777명-
2019년3,777명△ 1,000
2020년2,870명▽ 907
2021년3,070명△ 200
2022년3,870명△ 800
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1번
2022년4,770명-
※ 하차인원 미포함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.svg 인천광역시 - 김포시간 버스
[ 펼치기 · 접기 ]

인천광역9501
좌석
60-5[1]
간선
경기직행
3000[1]
3300[2]
일반
88[1]
96[1]
[1] 인천광역시 중 강화군만 경유
[2] 김포TG(인천공항 방면) 정류소만 김포시에 해당. 인천광역시 중 영종도만 경유
[3] 유현마을 정류소만 인천광역시에 해당

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4 23:54:32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7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토요일 / 공휴일 7대 운행.[2] 다만 노선에 따라 경유지가 달라 추가 환승이 필요할 수 있다.